<손익계산서>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포인트) 영업이익율 10% 이상인지, 당기순이익률 5% 이상인지, 이익률 구조는 시계열 적으로 어떠한지
<재무제표>
자산 에서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중 비중이 큰 항목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가
자산회전율 = 매출액 / 평균자산 ;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평균매출채권 ; 매출 채권 회수는 잘 이뤄지고 있는가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평균재고자산 ; 악성재고는 잘 관리되고 있는가
-> 포인트) 자산회전율이 1회 이상, 매출채권회전율 4회 이상, 재고자산회전율 4회 이상
1개월치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은 몇 개월치인가? (3개월치만 되어도 훌륭)
1개월치 매출액 대비 재고자산은 몇 개월치인가?
- 비유동자산에서 구성항목을 (큰 것부터) 구분해보고 매출액 대비/영업이익 대비로 어떠한지 본다
특히 유형자산과 영업이익/매출액을 구분해본다
유형자산 대비 영업이익률(손익계산서)은 어떠한지 -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14조의 유형자산으로 47조의 영업이익을 올리고 있다
- 부채에서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부채가 영업용부채 인지 금융부채인지 나눠서 볼 수 있다. 부채가 얼마인지도 중요하지만 어느 기관에서 몇 퍼센트의 금리로 조달했는지도 중요하다
부채비율 = 평균부채 / 평균자산 ; 장기적인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가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단기차입금 상환 능력이 있는가
이자보상비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이자 상환할 능력이 있는가
-> 포인트) 부채비율 200% 이하,
유동비율 150% 이상,
이자보상비율 3배 이상
<주식의 가치>
- 내가 원하는 수익이 5% 인데 이 회사가 1년에 10억을 번다면
영업이익 /요구수익률 = 10억 / 5% = 200억 투자
- PER 주가수익률의 활용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 10000/1000 = 10 배
주가 = 주당순이익 * PER = 1000 * 10 = 10000
회사의 가치 = 영업이익 * PER
= 10억 *10 = 100억
- 정리하자면, 순자산가치와 순수익가치의 평균
(1) 순자산가치 = 자산 - 부채
(2) 순손익가치 = 당기순이익 * 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