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20

20240513 서울시 역세권 용적률

용적률 규제 완화가 집중되는 곳은 역 세권 활성화 사업이 이뤄지는 지하철역 주변이다. 2019년 도입된 이 사업은 지하 철역 반경 350m 안에 있는 1500~1만mi 용지의 용도지역을 올려주고, 늘어난 용 적률의 절반을 공공기여로 받는다. 지하철역 주변만 가능했던 사업 대상 지는 간선도로변의 노선형 상업지역까 지 확대하기로 했다. 도산대로, 강남다 로, 언주로 일대 94만9000ml가 대상지 로 추가됐다. 또 관광숙박시설, 친환경 건축물, 창의•혁신 디자인에 대한 용적 률 인센티브를 추가 도입한다. 역 주변 은 2단계까지만 허용하던 용도지역 상 향을 최대 4단계(입지 특성 충족 및 복 합용도 도입 시)까지 가능하게 했다. 예를 들어 3도심(광화문•강남•여의 도)과 용산 잠실 마곡 등 7광역 중심에 속한..

추세매매 톰 호가드의 의견

이익은 길게, 손실은 짧게 ㅡ 작은 손실을 많이 본다 ㄴ 한 번의 손절이 얼마나 작아야 할 것인가? 매매를 실행했을 때 바로 수익이 나는 매매만 계속 유지했고, 50에 샀는데 48로 떨어지는 매매는 중단시켰다 ㄴ 진입 직후에 오르지 않으면 손절, 본절컷 바로 추가 빠르게 손절하라!! 반응이 없으면 빠르게 폐기하고, 반응이 좋으면 추가 매수 ㅡ 이익이 충분히 크고 손절이 작다면, 승률이 낮아도, 손절을 만회할만큼 벌 수 있다 ㄴ 이익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ㄴ 추격매수 ㅡ 이익이 날 때, 얼만큼 오래 보유해야하는가. 언제 익절하는가 ㄴ 분할매도의 욕심을 버림 ㄴ 목표수익률을 미리 정해놓지 않음 100만큼의 수익을 얻다가 본전 0으로 돌아간 케이스를 수없이 많이 겪었더 100만큼의 수익을 끝까지 지켜보면서 ..

Investment/주식 2024.03.19

오픈마인드 - 땅을 보는 기준

땅의 기준을 측정하는 기준 용도지역에서 확실하게 차이가 나고(도시지역, 도시지역 이외의 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호재의 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나고 (수요와 공급의 법칙) 도로의 환경 여건에서 차이가 나고 땅의 모양에 따라서 확실하게 차이가 나고 주변 환경에 따라서 차이가 나고 (축사, 고압선 등) 도로의 전면 혹은 뒤쪽에 붙었는지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평가를 하는 거래된 데이터가 많지 않다. (그러나 오르는 땅은 이미 정해져 있다.)

아기곰 부동산의 3요소 : 유동성 , 공급, 수요

발췌 : https://youtu.be/DmQSDd7ue0E?si=En-eCYMexMyRMhRj 유동성 시장 돈가치가 떨어지면 집값이 오른다 > M2 통화량 증가하면 집값이 떨어진다 공급 착공이 얼마나 되는가 미분양이 얼마나 났나 : 미분양 늘면 수요 대비 공급이 많아지면 집값이 떨어진다 수요 일자리 창출 투자심리 : 한국은행 투자심리 발표 참조 > 100보다 높으면 집값이 오른다 (경험상 최대 120, 촤소 60)

실전 알고리듬 트레이딩 레벨업 (파이썬 백테스트 활용) 안드레아스 F.클레노우

번역의 질이나 내용 면에서 초보자용 책은 아니다 하지만 새로운 아이디어가 많음 측정 지표 1. 변동성 을 적게 = 성과에 대해서 지불하는 변동성을 가능한한 적게 샤프비율 = (연율화 수익률 - 무위험 이자율) / 연율화 표준편차 즉, 낮은 변동성으로 높은 수익율을 추구하는 것 1.0 이상의 샤프 비율은 매우 드물다, 0.7-0.8 이면서도 수익성 좋은 전략도 많다 연율화 수익률 무위험 이자율 연율화 표준편차 2. 수익률 일일 수익률 df[‘StrategyPct’] = df[‘close’].pct_change(1)* df[‘position’] 누적 수익률 (1) df[‘StrategyPct_cum’] = (df[‘StrategyPct’]+1).cumprod() 누적 수익률 (1) df[‘StrategyPc..

Investment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