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rcuit ROUNDS>
### CHARLOTTE DE WITTE ★★★
1) 장르
* 테크노 (에시드 테크노, 미니멀 테크노 중심)
2) 음색 특징/강점
* 어둡고 스트립트백(stripped-back)한 사운드, 거칠고 원초적인 에너지.
* 에시드 신스와 묵직한 킥, 미니멀하면서도 강렬한 전개.
* 라이브와 DJ 셋 모두에서 일관된 테크노 본연의 힘 전달.
3) 관중의 평가/반응
* 테크노 마니아와 신세대 모두에게 폭넓게 어필, 대형 페스티벌 메인 스테이지 장악.
* "테크노를 대중적으로 확장시킨 DJ"라는 평가.
* 열정적인 활동으로 팬들의 지지와 존경을 받음 (예: 2019년 200회 이상 투어).
4) 협업/영향
* Chris Liebing과 협업.
* 자신의 레이블 KNTXT를 통해 다양한 신진 아티스트 지원.
* 벨기에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성장, Studio Brussel 라디오 DJ 콘테스트 우승으로 Tomorrowland 메인 스테이지 데뷔.
5) 특이한 에피소드
* KNTXT 레이블, 파티 시리즈, 라디오 쇼 등 다양한 플랫폼 직접 운영.
* 'Raving George'라는 예명으로도 활동한 이력.
6) 국적
* 벨기에
---
### BOYS NOIZE
1) 장르
* 테크노, 일렉트로, 하우스,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클래시.
2) 음색 특징/강점
* 공격적이고 실험적인 사운드, 디스토션과 펑키함, 하드한 그루브.
* "테크노 펑크"라는 별명에 걸맞은 독창성과 파괴력.
* 언더그라운드와 메인스트림을 넘나드는 유연함.
3) 관중의 평가/반응
* *Rolling Stone* 선정 "지구를 지배하는 DJ Top 10", 세계 최대 페스티벌 헤드라이너.
* "언더그라운드 테크노를 3만 명 앞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유일한 DJ"라는 평가.
* GTA IV, 영화 사운드트랙 등 대중적 접점도 많음.
4) 협업/영향
* Skrillex(Dog Blood), Chilly Gonzales(Octave Minds), Mr. Oizo(Handbraekes) 등 다양한 프로젝트.
* Daft Punk, Depeche Mode, Snoop Dogg, Frank Ocean, Lady Gaga 등과 리믹스·프로듀싱.
5) 특이한 에피소드
* 2025년 Nine Inch Nails 투어 오프닝 DJ 선정.
* 2019년 Skrillex와의 "Midnight Hour"로 그래미 노미네이트.
* Lady Gaga "Rain on Me" 공동 작곡.
6) 국적
* 독일 (함부르크 출신), 이라크계, 베를린 기반.
---
### MADDIX
1) 장르
* 테크노, 빅룸, 하드테크노, 레이브, 트랜스 하이브리드.
2) 음색 특징/강점
* 하드한 킥, 에시드 신스, 빅룸의 에너지와 테크노의 무게감 결합.
* 페스티벌에 최적화된 강렬한 드롭과 파워풀한 사운드.
3) 관중의 평가/반응
* 빅룸과 테크노 팬 모두에게 사랑받으며, Ultra, Parookaville 등 대형 페스티벌에서 폭발적 반응.
4) 협업/영향
* Hardwell, Armin van Buuren, Dimitri Vegas & Like Mike 등 EDM 거장과 협업.
* Amelie Lens, DJ Umek 등 테크노 아티스트와도 교류.
5) 특이한 에피소드
* 빅룸에서 테크노로 스타일 전환 후 글로벌 인지도 급상승.
* 2023년 Beatport Best Selling Techno Artist 7위, DJ Mag Top 100 DJ 95위 등재.
6) 국적
* 네덜란드
---
### MALAA
1) 장르
* 베이스 하우스, G-하우스, 퓨처 하우스, 딥 하우스.
2) 음색 특징/강점
* 묵직한 베이스라인, 힙합 보컬 샘플, 어둡고 섹시한 클럽 무드.
* 마스크를 쓴 미스터리 아이덴티티와 그루비한 하우스 사운드.
3) 관중의 평가/반응
* 마스크와 익명성으로 신비감 부여, 클럽과 페스티벌에서 중독성 강한 셋으로 인기.
4) 협업/영향
* Tchami, DJ Snake, Mercer 등 Pardon My French 크루와 긴밀한 협업.
5) 특이한 에피소드
* 정체 불명 (프랑스 DJ Sebastien Benett 설, DJ Snake/Tchami/Mercer가 프로젝트에 관여한 설 등).
6) 국적
* 프랑스
---
<bionicJUNGLE>
### I HATE MODELS ★★★
1) 장르
* 테크노 (하드 테크노, 인더스트리얼, 레이브 테크노).
2) 음색 특징/강점
* 다크하고 에시드한 신스, 감성적 멜로디와 하드 킥의 조화.
* 하드 트랜스, 인더스트리얼, EBM, 레이브가 섞인 드라마틱한 전개.
3) 관중의 평가/반응
* 감정적 몰입과 에너지 모두를 충족시키는 셋으로 유럽 테크노 씬에서 열광적 반응.
* 셋에 따라 호불호 갈림 ("틱톡 테크노" 비판 vs "베스트 셋" 극찬).
4) 협업/영향
* Dax J, SHDW & Obscure Shape 등 하드 테크노 아티스트들과 교류.
* 레이브와 인더스트리얼에서 영감.
5) 특이한 에피소드
* "Face II Face" 투어에서 새로운 음악적 시도.
* 팬들과 직접 교류하는 모습 자주 목격.
6) 국적
* 프랑스
---
### TRYM ★★★
1) 장르
* 테크노 (하드 테크노, 레이브, 하드 트랜스).
2) 음색 특징/강점
* 빠른 BPM, 강력한 킥, 트랜스와 하드댄스 요소 결합.
* 에너지와 파워 중심의 셋, 레이브 감성.
3) 관중의 평가/반응
* 유럽 페스티벌에서 신세대 테크노 팬들에게 폭발적 인기.
4) 협업/영향
* Kobosil, Dax J 등 신세대 하드테크노 아티스트들과 교류.
* Sofiane Pamart 등과의 콜라보, 다양한 리믹스 및 크로스오버.
5) 특이한 에피소드
* K-팝 트랙(NewJeans 등)을 레이브 스타일로 리믹스하는 등 파격적 시도.
6) 국적
* 프랑스
---
### ELI BROWN
1) 장르
* 테크 하우스, 테크노, 베이스 하우스.
2) 음색 특징/강점
* 브리스톨 출신의 언더그라운드 감성, 강렬하고 깊이 있는 사운드.
* 피크타임 드라이빙 테크노, 그루비한 베이스와 어두운 신스.
* 댄스플로어를 염두에 둔 직관적 전개.
3) 관중의 평가/반응
* "에너지 넘치고 수준이 다르다"는 호평, 페스티벌에서 강한 존재감.
4) 협업/영향
* Solardo, Fisher, Cloonee, Hot Since 82 등과 교류.
* UK 베이스 사운드와 테크 하우스 결합.
* 자신의 레이블 Arcane을 통해 신진 아티스트 지원.
5) 특이한 에피소드
* 언더그라운드 브리스톨 씬에서 성장, 상업성보다 자신만의 스타일 고수.
* 최근 Cloonee와의 비교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며 팬덤 확장.
6) 국적
* 영국 (브리스톨 기반)
---
### LAYTON GIORDANI ★★★
1) 장르
* 테크노, 테크 하우스.
2) 음색 특징/강점
* 현대적이면서도 클래식한 테크노, 멜로딕 신스와 묵직한 킥.
* 프로그레시브한 전개, 하이 옥탄(고옥탄) 사운드.
* 라이브 셋에서의 에너지와 몰입감.
3) 관중의 평가/반응
* Drumcode, Awakenings 등 글로벌 테크노 씬에서 "차세대 테크노 리더"로 평가.
* 라이브 셋에 대한 팬들의 극찬 ("마지막 반이 미쳤다", "스무스하고 딥하다", "에너지 폭발").
4) 협업/영향
* Adam Beyer(Drumcode), Green Velvet, Danny Tenaglia 등과 협업 및 멘토링.
5) 특이한 에피소드
* 19세에 Pacha NYC에서 Danny Tenaglia 공연을 보고 DJ 결심.
* Output NY 레지던시로 커리어 급성장, 20대 초반에 Drumcode 데뷔.
6) 국적
* 미국 (뉴욕 출신)
---
### AK SPORTS ★★★
1) 장르
* 테크노, 하드댄스, 브레이크비트.
2) 음색 특징/강점
* 브레이크와 테크노의 결합, 실험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사운드.
3) 관중의 평가/반응
*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신선한 사운드로 주목받음.
4) 협업/영향
* Mall Grab 등과 교류.
5) 특이한 에피소드
* 오스트레일리아와 영국(런던), 미국(LA) 등지를 오가며 활동, 다양한 씬과 연결.
6)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
< kineticFIELD >
### LOUD LUXURY
1) 장르
* 딥 하우스, 팝 하우스.
2) 음색 특징/강점
* 캐치한 멜로디, 팝적인 보컬, 라디오 친화적 사운드.
* 대중적이면서도 클럽 친화적인 트랙.
3) 관중의 평가/반응
* "댄스 분위기 최고", "파티에 최적화"라는 평가.
* 일부는 "라이브에서 마이크 사용 과다" 등 비판도 있음.
4) 협업/영향
* Brando 등과 협업 ("Body" 등).
* Martin Garrix, Dua Lipa 곡 리믹스.
* Armin van Buuren 레이블과도 협업.
5) 특이한 에피소드
* "Body" 한 곡으로 글로벌 스타덤, Juno Award 수상.
* EDC, Lollapalooza 등 대형 페스티벌 출연.
6) 국적
* 캐나다 (온타리오 출신)
---
### ILLENIUM
1) 장르
* 멜로딕 베이스, 퓨처 베이스, 트랩, EDM.
2) 음색 특징/강점
* 감성적 멜로디, 강렬한 드롭, 보컬 중심의 트랙.
* 기타와 신스의 조화, 몰입감 강한 라이브 셋.
3) 관중의 평가/반응
* 감동적이고 깊이 있는 사운드로 강력한 팬덤 보유.
* 메인스트림화로 호불호도 존재.
4) 협업/영향
* Said the Sky, Dabin, Excision, The Chainsmokers 등과 협업.
* 멜로딕 베이스 신의 대표주자.
5) 특이한 에피소드
* 밴드 구성의 라이브 투어.
* "Good Things Fall Apart"로 메인스트림 돌파.
6) 국적
* 미국 (샌프란시스코 출신)
—-
### SAM FELDT
1) 장르
• 멜로딕 하우스, 트로피컬 하우스, 딥 하우스, 댄스 팝, 일렉트로닉.
• 스스로 “항상 여름을 쫓는다”고 말하며, 그의 음악은 여름 느낌의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지향.
2) 음색 특징/강점
• “기분 좋은(feel-good)” 사운드, 트로피컬 하우스의 분위기와 빅룸 드럼, 쉬운 팝적 작곡 스타일을 결합하여 일몰처럼 빛나는 사운드를 창조.
• 업리프팅하고 멜로딕하며, 감성적이고 좋은 여름 분위기로 가득 찬 음악.
3) 관중의 평가/반응
• 플래티넘 판매 기록을 가진 DJ 겸 프로듀서로, 딥 하우스와 팝 감성을 결합한 시그니처 스타일로 열성적인 팬층과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음.
• “Show Me Love” 리믹스와 “Post Malone” 등 히트곡으로 큰 성공 거둠.
4) 협업/영향
• Kesha, Rita Ora, Kygo & Emily Warren, Gavin James, Anitta & JVKE 등 다양한 팝 아티스트 및 DJ와 협업
5) 에피소드
• 투어 수입이 전체 수입의 약 70%를 차지한다고 밝힘.
• 최근 아들 Florian의 탄생.
6. 국적 네덜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