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봐도 감동적인 글
청갈자에서 배웠다
후배들은
되도록 이른 나이에 청갈자를
꼭 수강하길 권유한다.
==========================
g.ALLPORT, C.ROGERS, A.MASLOW, E.FROMM, F.PERLS
건강하고 성숙한 심리란?
사고와 행동이 의식적인 차원에서 조절되며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자기 통제력이 있다. 이들은 과거의 충동과 욕망은 인식하되 거기에 사로잡혀 있지는 않으며, 미래의 계획을 세우되 그것을 위해 현재를 완전히 희생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지금 여기에'존재하며 당면한 모든 문제들을 인식하고 있다. 비록 어려운 문제와 갈등에 부딪친다 해도, 이들은 자아의 부분들을 통합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으며, 모든 경험이 신선하고 새로운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융통성이 있다. 그러나 건강하지 못한 심리를 소유한 사람들은 사고와 행동이 무의식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자기 통제력이 없다. 이들의 심리상태는 과거의 억압된 욕구나 충동, 어린 시절의 악몽, 갈등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어떤 문제에 부딪치면 자아의 부분들이 통합되지 못하고 불균형 상태에 처하게 되기 대문에, 새로운 경험이나 변화에 적응하는 융통성이 없다.
또한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미래지향적이며 자신의 에너지를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방향으로 전환한다. 이들의 행동은 미래에 대한 의욕, 기대, 희망에 의해 동기화되기 때문에 행동을 선택하는데 자유스럽다. 이들은 끊임없는 욕구로 스스로 긴장을 생성해내서 자신의 에너지를 생산적인 활동에 투요한다. 그래서 이들은 현 상태에 안주한다기보다는 항상 긴 안목을 가지고 새로운 목표와 방향을 향해 나아가는 성장동기가 있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은 앞과 반대이며, 모든 행동이 긴장해소의 차원에서 머무른다.
또한 건강한 심리의 소유자들은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어서 현실지각이 왜곡되지 않고 솔직하며, 자아수용을 한다. 마음이 건강하다고 해서 분노, 증오, 좌절감, 불안과 같은 정서감정을 전혀 느끼지 않는 건 아니나 이들은 어떤 경험도 위협적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경험을 솔직하게 수용한다. 즉 자신의 약점, 실패, 충동, 분노, 갈등 등을 억압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수용해서 자신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기 떄문에 대인관게가 원만하다. 그러나 마음이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경험에 대해 폐쇄적이어서 현실경험을 솔직하게 인정하지 못하고, 왜곡하며, 자아수용이 부족하다. 이들은 자신의 결함, 욕구, 충동, 갈등을 수용하지 못하고 부정, 억압, 투사 등의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자주 분노나 적개심에 사로잡혀 있기도 한다.
한편 에리히 프롬은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생산적 정향을 한다고 한다. 이들은 사랑으로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심리적 욕구를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방법으로 만족시킨다. 이들은 타인에 대한 진지한 관심과 책임, 이해력이 있으며 외부의 권위나 압력보다는 자아에 의해 통제되는 양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어떠한 극한 상황에서도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은 비생산적인 정향을 한다. NONPRODUCTIVE ORIENTATION
즉 이들은 타인에 대한 지배나 복종을 강요함으로써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이러한 관계에 실패했을 때는 자신 속에 함몰되어 현실과의 접촉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비이성적인 방법으로 만족시킨다. 이들은 생산, 창조, 사랑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자신의 욕구를 배우자, 치눅, 사치성과 같은 외부자원에 의존하며 사랑, 재산, 사고와 정서까지도 강요하고 속임수와 같은 방법으로 탈취한다. 이들의 자아는 상품으로서만 가치가 있어서, 얼마나 미소를 잘 짓고 상사의 비위를 잘 맞추는가 하는 표면적 자질이 내면적 자질보다 중요시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청갈자에서 배웠다
후배들은
되도록 이른 나이에 청갈자를
꼭 수강하길 권유한다.
==========================
g.ALLPORT, C.ROGERS, A.MASLOW, E.FROMM, F.PERLS
건강하고 성숙한 심리란?
사고와 행동이 의식적인 차원에서 조절되며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자기 통제력이 있다. 이들은 과거의 충동과 욕망은 인식하되 거기에 사로잡혀 있지는 않으며, 미래의 계획을 세우되 그것을 위해 현재를 완전히 희생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지금 여기에'존재하며 당면한 모든 문제들을 인식하고 있다. 비록 어려운 문제와 갈등에 부딪친다 해도, 이들은 자아의 부분들을 통합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으며, 모든 경험이 신선하고 새로운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융통성이 있다. 그러나 건강하지 못한 심리를 소유한 사람들은 사고와 행동이 무의식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자기 통제력이 없다. 이들의 심리상태는 과거의 억압된 욕구나 충동, 어린 시절의 악몽, 갈등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어떤 문제에 부딪치면 자아의 부분들이 통합되지 못하고 불균형 상태에 처하게 되기 대문에, 새로운 경험이나 변화에 적응하는 융통성이 없다.
또한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미래지향적이며 자신의 에너지를 생산적이고 창조적인 방향으로 전환한다. 이들의 행동은 미래에 대한 의욕, 기대, 희망에 의해 동기화되기 때문에 행동을 선택하는데 자유스럽다. 이들은 끊임없는 욕구로 스스로 긴장을 생성해내서 자신의 에너지를 생산적인 활동에 투요한다. 그래서 이들은 현 상태에 안주한다기보다는 항상 긴 안목을 가지고 새로운 목표와 방향을 향해 나아가는 성장동기가 있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은 앞과 반대이며, 모든 행동이 긴장해소의 차원에서 머무른다.
또한 건강한 심리의 소유자들은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어서 현실지각이 왜곡되지 않고 솔직하며, 자아수용을 한다. 마음이 건강하다고 해서 분노, 증오, 좌절감, 불안과 같은 정서감정을 전혀 느끼지 않는 건 아니나 이들은 어떤 경험도 위협적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경험을 솔직하게 수용한다. 즉 자신의 약점, 실패, 충동, 분노, 갈등 등을 억압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수용해서 자신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기 떄문에 대인관게가 원만하다. 그러나 마음이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경험에 대해 폐쇄적이어서 현실경험을 솔직하게 인정하지 못하고, 왜곡하며, 자아수용이 부족하다. 이들은 자신의 결함, 욕구, 충동, 갈등을 수용하지 못하고 부정, 억압, 투사 등의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자주 분노나 적개심에 사로잡혀 있기도 한다.
한편 에리히 프롬은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생산적 정향을 한다고 한다. 이들은 사랑으로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심리적 욕구를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방법으로 만족시킨다. 이들은 타인에 대한 진지한 관심과 책임, 이해력이 있으며 외부의 권위나 압력보다는 자아에 의해 통제되는 양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어떠한 극한 상황에서도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은 비생산적인 정향을 한다. NONPRODUCTIVE ORIENTATION
즉 이들은 타인에 대한 지배나 복종을 강요함으로써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이러한 관계에 실패했을 때는 자신 속에 함몰되어 현실과의 접촉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비이성적인 방법으로 만족시킨다. 이들은 생산, 창조, 사랑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자신의 욕구를 배우자, 치눅, 사치성과 같은 외부자원에 의존하며 사랑, 재산, 사고와 정서까지도 강요하고 속임수와 같은 방법으로 탈취한다. 이들의 자아는 상품으로서만 가치가 있어서, 얼마나 미소를 잘 짓고 상사의 비위를 잘 맞추는가 하는 표면적 자질이 내면적 자질보다 중요시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