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소리, 나루세 미키오
산의 소리.
정한석 님의 정리.
동시대성의 내연과 외연
- 카와바타 야스나리 소설 : 54년. 미국정 치하 일본
- 나루세 미카오 영화 : 54년
1. "아는 것만큼 보인다" : 카와바타 야스나리의 심연을 경유한 독해
* 일본 근대문학 - 사소설의전통
· 미시담론의 세계 - 개이주의, 유미주의, 일상성, 의식의 흐름
· 일본은 전체주의적 느낌이 있는데 왜 개인주의적 양식의 예술이 득세하는가(기호의 제국)?
→ 국가 개념이 늦게 생성되어, 통일성을 경험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 동시대성 (패전의 트라우마)과 초월성의 혼재
에로스와 타나토스 - 쾌락원칙/열반원칙/현실원칙의 3중주
미와 추 키쿠고, 처형 ↔ 아내와 딸
금기와 윤리
만물일여, 물아일체, 나타일여
동양적 생사관 - 불교적 윤회의식 / 유불선적 생사관 / 영겁회귀의 욕망 : 삶과 죽음은 하나, 화석이 된 씨앗이 꽃을피운다
남성성의 불안 (퇴행과 퇴폐)
전후 일본의 트라우마와 전후 살아남은 여자의 연대.
2. "모르면 더 잘 보인다 " : 나루세 미키오이 표층에 집중한 독해
자의식이 강한 감독이 왜 표면에 멈추는가?
→ 행위,표면만 보여줌으로써 모호하더라도 미묘한 동시에 모순을 그대로 보이는
* 일본 고전영화 - 촬영소 전속 시스템, 거장들의 고유종목 분화
* 제 4의 거장이라는 상대성
* 비헐리우드적인 방식의 작법
* 철저한 현실주의 : 현재성에 집중. 양식화를 거부하며 카메라가 응시하는대로 재연에 기대는
* 단순함의 미학
* 감정의 리듬 : 시선의드라마
* 무성영화적 표현
* 남과 여 > 부부 > 가족
* 여성 주체
* 다른 텍스트와의 호환(빛과 그림자 / 병으로 쓰러지는 일/남녀가 나란히 걷는 장면의 특화)
비중에 관계없이 이 세대로부터 시작하겠다. ☞ 전후 시대의 삶으로.